참고 자료
-
보살도참고 자료 2014. 12. 15. 11:55
한국민족문화대백과보살도[ 菩薩道 ] 유형개념용어목차정의내용정의대승불교에서 보살이 닦고 실천하는 수행의 길.내용보살도는 소승불교의 수행과는 달리 자리이타(自利利他)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소승불교에서 자기만의 해탈을 위하여 수행하는 데 대하여 보살도의 실천은 자기를 위한 수행이 곧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요, 남을 위하는 것이 자기의 도를 이롭게 한다는 자타의 일체감에서 출발하게 된다.보살이 자리이타의 실천행을 닦는 까닭은 진정한 깨달음은 모든 중생과 함께 하기 때문이다. 모든 중생이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 또는 여래장(如來藏)의 발현이 세상을 참된 불국토(佛國土)로 만들 수 있고 그 불국토의 구현이 불교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자장(慈藏)·원광(圓光)·원효(元曉)·의상(義湘) 등..
-
이일분수참고 자료 2014. 12. 2. 11:07
두산백과이일분수[ 理一分殊 ] 세계를 관철하는 보편적인 원리와 구체적·개별적인 원리 사이에 일치성이 있다고 보는 성리학 이론. 모든 사물의 개별적인 이(理)는 보편적인 하나의 이와 동일함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세계를 관철하는 보편적인 원리와 구체적·개별적인 원리 사이에 일치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만물이 이법(理法)의 구현이고 그것이 일리(一理)로 귀결한다는 불교의 화엄사상을 근거로, 유교적 도덕으로 재정립하여 만든 성리학 이론으로서 정이(程頤)와 주희(朱熹)가 그 이를 확립하였다. 모든 사물은 하나의 이치(理)를 지니고 있으나 개개의 사물·현상은 상황에 따라 그 이치가 다르게 나타난다(分殊). 개별적 이를 초월하는 보편적 이, 즉 태극(太極)은 ‘이일(理一)’로서의 ‘통체일태극(統體一太極)’이며, 개..
-
에포케참고 자료 2014. 12. 1. 15:52
두산백과에포케[ epoche ] ‘판단 정지’라는 뜻. 고대 그리스의 회의론자(懷疑論者)들이 쓰던 용어. 원래는 ‘멈춤’ 또는 ‘무엇인가를 하지 않고 그대로 둠’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피론을 중심으로 한 고대 회의론자들이 ‘판단 중지’라는 뜻으로 쓰게 되었다.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판단하는 사람이나 그 대상의 입장과 상태 ·조건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무엇이든 일률적으로 좋다, 나쁘다, 또는 있다, 없다고 판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매사에 대해서 ‘판단을 보류하는(에포케를 하는)’ 수밖에 없고, 또한 ‘마땅히 그래야 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태도는 근세에 들어와 R.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에서 철학의 방법론으로서 그 적극적인 의의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E.후설은 데카르트의 정신을 취하면서, 이 에포케..
-
자유론참고 자료 2014. 11. 28. 18:01
저자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해설자 : 서병훈(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자유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세상이 아무리 바뀌어도 자유는 여전히 새롭다. 자유를 향한 열망은 모든 사람을 한데 묶을 수 있는 유일한 화두(話頭)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유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인간 복제, 안락사, 남녀간의 사랑 등 우리 삶의 거의 모든 단면에 걸쳐 자유와 윤리, 개인과 국가 사이의 팽팽한 대립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자유를 한 마디로 규정하기도 어렵다. 왜 그런가? 그것은 무엇보다도 자유에 대한 이해가 그 말을 쓰는 사람 각자의 세계관과 떼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자유를 어떤 의미로 사용하는가 하는 것은 각자가 인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리고 그 인간이 모여 사는 사..
-
사단칠정론참고 자료 2014. 11. 28. 10:48
두산백과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 ] 조선시대의 석학인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주장한 인생관의 논리적 학설. 사단(四端)이란 맹자(孟子)가 실천도덕의 근간으로 삼은 측은지심(惻隱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예기(禮記)》와 《중용(中庸)》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이황은, 사단이란 이(理)에서 나오는 마음이고 칠정이란 기(氣)에서 나오는 마음이라 하였으며, 인간의 마음은 이와 기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마음의 작용은 이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과 기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선과 악이 섞이지 않은 마음의 작용인 4단은 이의 발동에 속하는 것으로, 이것은 인성(人性)..
-
사구백비참고 자료 2014. 11. 25. 17:46
▣ 사구백비(四句百非) 사구란 하나의 개념 혹은 대립되는 개념을 기준으로 현상을 판별하는 4가지 논리형식(유와 무를 기준)을 말한다. 제1구는 A이다(有), 제2구는 A가 아니다(無), 제3구는 A이면서 A가 아니다(亦有亦無), 제4구는 A도 아니고 A아닌 것도 아니다(非有非無). 이 기본사구에 다시 사구가 있어 4*4=16이요, 이 16은 이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이 있어 합이 32이다. 이 32는 과거, 현재, 미래가 있어 96이요 96에 기본사구를 더하면 100이 된다. 이 100가지 논리, 형식을 모두 부정하는 것을 백비라 한다. 진리는 모든 분별이 끊어진 상태이므로 사구백비라고 하는데, 사구의 분별도 떠나고 백비의 부정도 끊어진 상태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구백비란 곧 모든 논리의 부정이..
-
원성실성과 의타기성참고 자료 2014. 11. 21. 15:44
VII. 제법의 삼종자성(三種自性)과 삼종무자성(三種無自性)의 진리 1. 三種自成의 진리 (1) 번뇌망상의 성질 (2) 인연생기의 성질(依他起性) 이와 같이 원성실성은 차별이 없고 변천도 없고 파괴됨도 없으며 변이성이 없는 일미상(一味相)이다. 그러므로 원성실성은 보살 등의 청정한 마음만이 반연할 수 있는 성질이다. 이러한 성질은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에 의하여 나타난 성질을 뜻한다. 이와 같은 원성실성은 의타기성과 항상 함께 존재하며 인연법과 화합하고 융합하여 무애하게 인연을 맺고있다. 이러한 관계를 부즉불리(不卽不離)라고 한다. 부즉(不卽)은 완전히 하나가 된 체성이 아니라는 뜻이며, 불리(不離)는 완전히 분리된 것도 아니라는 뜻이다. 이와 같은 원성실성과 위에서 말한 의타기성의 관계는 하나가 된..
-
의타기성참고 자료 2014. 11. 21. 15:33
의타기성(依他起性: 인연생기의 성질) 인연법으로 생겨난 모든 것을 의타기성이라고 한다. 의타기성은 여타의 여러 인연에 의하여 생기한 삼라만상을 뜻한다. 여러 인연에 의하여 생기는 모든 존재(依他衆緣而得起故)는 개체의 모습이 있게 되며 이를 인연법의 자상(自相)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연의 집합체에는 개성이 있게 되며 이를 자성(自性)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여러 인연이 집합하여 생기는 자상과 자성은 정신계와 물질계에 모두 있게 된다. 마음의 체성과 마음의 작용도 인연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며, 인연에 의하여 행동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를 의타기성이라고 한다. 마음의 행위는 자증분과 상분 견분의 작용을 뜻한다. 이들 심분에 의하여 요별과 분별과 사량의 작용이 전개된다. 이러한 마음의 작도 인연에 의하여 야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