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백과
사단칠정론
[ 四端七情論 ]- 조선시대의 석학인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주장한 인생관의 논리적 학설.
사단(四端)이란 맹자(孟子)가 실천도덕의 근간으로 삼은 측은지심(惻隱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하며, 칠정(七情)이란 《예기(禮記)》와 《중용(中庸)》에 나오는 희(喜)·노(怒)·애(哀)·구(懼)·애(愛)·오(惡)·욕(慾)을 말한다.
이황은, 사단이란 이(理)에서 나오는 마음이고 칠정이란 기(氣)에서 나오는 마음이라 하였으며, 인간의 마음은 이와 기를 함께 지니고 있지만, 마음의 작용은 이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과 기의 발동으로 생기는 것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즉 선과 악이 섞이지 않은 마음의 작용인 4단은 이의 발동에 속하는 것으로, 이것은 인성(人性)에 있어 본연의 성(性)과 기질(氣質)의 성(性)이 다른 것과 같다고 하여 이른바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하였다.
이황의 이러한 학설은 그 후 학계에 큰 파문을 일으켜 200여 년 간에 걸쳐 유명한 사칠변론(四七辯論)을 일으킨 서막이 되었다. 즉 기대승(奇大升)은 이황에게 질문서를 보내어, 이와 기는 관념적으로는 구분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마음의 작용에서는 구분할 수 없다고 주장,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내세웠으며, 이를 다시 이이(李珥)가 뒷받침하여 이기이원론적 일원론(理氣二元論的一元論)을 말하여 이황의 영남학파(嶺南學派)와 이이의 기호학파(畿湖學派)가 대립, 부단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이는 마침내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사이에 벌어진 당쟁(黨爭)의 이론적인 근거가 되기에 이르렀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단칠정론 [四端七情論] (두산백과)
조선 성리학에 있어서 본체론(本體論)과 심성론(心性論)에 관한 이론. 이황(李滉)의 “사단(四端)은 즉 이가 발함에 기가 이것을 따르며, 칠정은 즉 기가 발함에 이가 이것을 탄다”(四則理發而氣隨之 七則氣發而理乘之)라는 설명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황은 사단(四端)은 순수선(純粹善)으로서 이(理)에 속하고, 칠정(七情)은 선악(善惡)을 겸한 것으로 기(氣)에 속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사단(四端)을 이(理)를 주(主)로 해서 말하여 이(理)가 발(發)하는 것으로 보았고, 칠정(七情)은 기(氣)를 주로 해서 말하여 기(氣)가 발(發)하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 반해 이이(李珥)는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은 모두 기(氣)가 발하고 이(理)가 이것을 타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흔히 기발이승(氣發理乘)이라고 말할 때는, 이이의 이른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가리킨다. 이이는 칠정(七情)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칠정(七情)은 물론 사단(四端)도 역시 기(氣)가 발(發)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그가 사단(四端)도 기발(氣發)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천도(天道)에 입각하여 인도(人道)를 직관(直觀)하려는 데 있다.
천지(天地)는 한 이기(理氣)이므로 사람 역시 천지간(天地間)의 이기(理氣)로 이루어진 것이고, 천지(天地)는 유심무심(有心無心)을 막론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실리'(實理)가 있을 뿐이고 이 '실리'가 사람에게 있어서는 '실심'(實心)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실리'는 천지간(天地間) 모든 기(氣)의 근저이므로 천지의 조화는 '기발이승'(氣發理乘)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사람의 '실심'의 발용(發用) 역시 천지조화의 원리와 서로 같은 까닭에 사단(四端)이나 칠정(七情) 모두 '기발이승'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이는 사단(四端)도 정(情)이고 칠정(七情)도 정(情)으로 보았다. 다만 사단(四端)은 순수선성(純粹善性)으로서 기(氣)가 맑으면 이(理)가 발현된다는 '기청이현'(氣淸理顯)의 이론을 전개시켰다. 곧 사단(四端)을 밝은 기(氣)가 발현된 상태로 본 것이다. 이후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은 이황의 '이발기발설 — 이기호발설'과 더불어 조선성리학사에 있어서 주리(主理)ㆍ주기(主氣) 논쟁의 시발점을 이루었다.[네이버 지식백과] 기발이승 [氣發理乘]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