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와 가족진료실 2012. 1. 9. 03:30
치매는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에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이다. 치매의 원인 질환 비율은 알츠하이머병 50%, 혈관성 치매 20~30%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있으면 가족 간에 많은 갈등이 유발되게 된다. 환자를 모시고 있는 가족들이 제일 힘든데 이 와중에 다른 친척들의 오해를 받아 더 힘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치매환자의 병진행이 일정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자기 물건이나 돈을 자꾸 같이 살고 있는 가족이 훔쳐갔다고 하기도 하고 밥을 주지 않는다. 누가 자기를 죽이려 한다는 피해 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환자의 말을 같이 살고 있지 않은 친척들이 믿고 갈..
-
바꿀 수 없는 것은 사랑하라!진료실 2011. 12. 19. 16:00
바꿀 수 없는 것은 사랑하라! 인생을 살면서 자신이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는 일들이 많다. 예를 들면 부모 형제는 자신이 선택할 수 없다. 자신의 생김새도 바꿀 수 없다. 만약 신체적 장애를 안고 있다면 그것 또한 바꿀 수 없다. 이러한 것들은 설혹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도 온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해야 한다. 그 것으로부터 자기 긍정이 시작된다. 자기에 대한 긍정은 자기에 대한 사랑으로 발전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충분하게 만족될 경우 타인에 대한 긍정과 배려가 시작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 이것은 인생의 모든 고난을 이겨나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충분하지 못하면 타인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사랑을 확인하려는 신경증적 요소들이 나타나게 되면서 본인뿐만 아니라 ..
-
공황장애진료실 2011. 12. 14. 17:38
공황장애는 갑자기 아무런 이유 없이 나타나는 극단적인 불안 증상, 즉 공황발작(panic attack)이 주요한 특징인 질환이다. 공황발작은 죽거나 미칠 것 같은 극도의 공포심이 느껴지면서 심장이 터지도록 빨리 뛰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땀이 나는 등 신체증상이 동반된 극도의 불안 증상을 말한다. 공황장애는 공황발작과 흔히 동반되는 광장 공포증은 자신이 남에게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장소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공포증을 말한다. 번잡한 거리, 번잡한 가게, 밀폐된 공간(터널, 다리, 승강기), 밀폐된 차량(지하철, 버스, 비행기)에 가거나 이용하는 것은 반드시 친구나 가족과 동반하려 한다. 심한 경우엔 아예 집을 나가려고 하지도 않는다. 공황장애 치료시 문제는 치료 기간이 길고 증상이 자주 ..
-
용서를 위한 기도카테고리 없음 2011. 12. 7. 18:02
용서를 위한 기도 -이해인 그 누구를 그 무엇을 용서하고 용서받기 어려울 때마다 십자가 위의 당신을 바라봅니다 가장 사랑하는 이들로부터 이유없는 모욕과 멸시를 받고도 피 흘리는 십자가의 침묵으로 모든 이를 용서하신 주님 용서하지 않는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용서는 구원이라고 오늘도 십자가 위에서 조용히 외치시는 주님 다른 이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기엔 죄가 많은 자신임을 모르지 않으면서 진정 용서하는 일은 왜 이리 힘든지요 제가 이미 용서했다고 생각했던 사람이 아직도 미운 모습으로 마음에 남아 저를 힘들게 할 때도 있고 깨끗이 용서받았다고 믿었던 일들이 어느새 어둠의 뿌리로 칭칭 감겨와 저를 괴롭힐 때도 있습니다 조금씩 이어지던 화해의 다리가 제 옹졸한 편견과 냉랭한 비겁함으로 끊어진 적도 많습니다 서로 ..
-
의사와 환자의 신뢰진료실 2011. 9. 20. 01:30
진료실에서 진료를 하다보면 의사를 믿지 못하는 환자들을 만나게 된다. 환자가 의사를 믿지 못하게 된 데는 매스컴에 보도되는 일부 병원과 의사들의 잘못된 행태도 있겠지만 인터넷 시대에 잘못된 의료 정보의 홍수와 개별 환자의 성격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의사와 환자의 신뢰관계는 치료의 예후를 좌우할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나는 진료실에서 환자의 특성에 맞게 설명을 하려고 애쓴다. 예를 들면 꼼꼼하고 강박적인 측면이 있는 환자에게는 묻는 질문에 의학적 자료를 동원하여 세세하게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불안장애가 있는 환자는 환자의 불안을 이해하고 반복되는 같은 질문에도 참을성있게 응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사와 환자의 신뢰 관계가 제대로 성립되지 못하면 의사들은 방어 진료에 골..
-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좋은 시 2011. 8. 10. 23:30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 -김재진 믿었던 사람의 등을 보거나 사랑하는 이의 무관심에 다친 마음 펴지지 않을때 섭섭함 버리고 이 말을 생각해 보라.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 두 번이나 세 번, 아니 그 이상으로 몇 번쯤 더 그렇게 마음속으로 중얼거려 보라. 실제로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 지금 사랑에 빠져 있거나 설령 심지 굳은 누군가 함께 있다 해도 다 허상일 뿐 완전한 반려(伴呂)란 없다. 겨울을 뚫고 핀 개나리의 샛노랑이 우리 눈을 끌듯 한때의 초록이 들판을 물듯이듯 그렇듯 순간일 뿐 청춘이 영원하지 않은 것처럼 그 무엇도 완전히 함께 있을 수 있는 것이란 없다. 함께 한다는 건 이해한다는 말 그러나 누가 나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가. 얼마쯤 쓸쓸하거나 아니면 서러..
-
수재들을 부하로 거느리는 방법좋은 글 2011. 7. 19. 18:04
‘초등학교 출신인 다나카 전 수상이 동경대 출신이 많은 대장성 장관으로 임명되었을 때, 엘리트 관료집단의 본산인 대장성에서는 노골적인 불만이 표출되었습니다. 그러나 다나카는 1분도 안되는 취임사 한마디로 우려와 불만을 일거에 해소했습니다. “여러분은 천하가 알아주는 수재들이고, 나는 초등학교 밖에 나오지 못한 사람입니다. 더구나 대장성 일에 대해서는 깜깜합니다. 따라서 대장성 일은 여러분들이 하십시오. 나는 책임만 지겠습니다.” 대장성 직원 모두를 리더로 인정해주는 순간, 부하 직원들은 닫힌 마음의 문을 활짝 열었습니다. 겸손과 상대에 대한 존중, 그리고 무엇보다도 스스로 책임을 지는 자세야 말로 진정한 리더의 모습입니다. ‘위대한 리더는 책임을 질 때를 제외하고는 어떤 경우에도 그의 추종자들보다 자신을..
-
강박장애진료실 2011. 4. 20. 15:30
강박장애는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잦은 손 씻기, 숫자 세기, 확인하기, 청소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강박적 사고를 막거나 그 생각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뿐 결과적으로 불안을 증가시킨다. 강박장애는 정신과 질환중 뇌의 생물학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라는 증거가 가장 많이 밝혀진 질병이다. 그러므로 약물치료가 매우 중요한 치료방법이 된다. 현재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이다. 약물 투여 시작후 일반적으로 4~6주에 효과가 나타나고 최대 8~16주에 나타난다. 같은 계열에 다양한 약물이 존재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 및 부작용 발생에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