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
식여도참고 자료 2013. 3. 8. 14:37
식여도(食餘桃) 옛날 미자하(彌子瑕)라는 미소년이 위나라 임금에게 총애를 받고 있었다. 어느 날 밤, 자하는 어머니가 많이 아프다는 소식을 듣고는 임금의 명이라 속여 임금이 타는 수레를 타고 나가 어머니를 보고 왔다. 위나라 법에 따르면 임금이 타는 수레를 몰래 타는 자는 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왕은 "효성스럽구나! 어머니를 위해 발이 잘리는 형벌을 무릅쓰다니"라며 되려 미자하를 칭찬했다. 언제가는 이런 일도 있었다. 미자하가 임금과 함께 과수원을 거닐다가 복숭아 하나를 따서 맛을 보니 무척 달았다. 미자하는 한 입 베물고 먹고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건네 주었다. 그러자 임금은 매우 기분 좋다는 듯이 "나를 몹시 사랑하는구나! 자신의 입맛은 잊고 나를 생각하다니"라며 미자하를 칭..
-
발종지시참고 자료 2013. 3. 8. 14:16
발종지시[發縱指示] 한자 뜻과 음 풀어놓을 발, 놓아 보낼 종, 손가락 지, 보일 시. 풀이 사냥개를 풀어서 짐승이 있는 곳을 가리켜 잡게 한다. 방법을 가르쳐 무엇을 어떻게 하라고 하는 지시. 발종은 개의 맨 줄을 풀어 주는 것. 지시는 사냥감을 손으로 가리키는 것. 출전 史記(사기). 출처 :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조기형, 2011.2.15, 이담북스 한고조 유방이 초패왕 항우와의 전투에서 이기고 한나라를 세웠다. 이에 따른 논공행상이 벌어졌는데 1등공신에 소하가 뽑혔다. 이에 현역 장군들이 불평이 대단했다. 소하는 후방에서 군수물자를 책임진 자로 전장에서 싸우지도 않은 사람인데 어떻게 그사람이 1등공신이 되냐 이건 말이 안된다하고 반대가 거셌다. 이에 한 성질 하는 유방이 버럭 화를 내면서 그들..
-
문가라작참고 자료 2013. 3. 8. 14:12
문가라작[門可羅雀]한자 뜻과 음문 문, 가할 가, 새그물 라, 참새 작.풀이문 앞에 참새를 잡을 그물을 칠 수 있다. 찾아오는 손님이 적음을 비유함. ‘門前雀羅(문전작라)’를 보시오.출처 :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조기형, 2011.2.15, 이담북스 문전작라[門前雀羅]한자 뜻과 음문 문, 앞 전, 참새 작, 그물 라.풀이문 앞에 새그물을 친다. 아무도 찾는 사람이 없어 문 앞에 참새를 잡는 그물을 칠 수 있을 정도로 쓸쓸하다는 뜻. 유래 및 용례前漢(전한) 7대 황제인 武帝(무제) 때 汲黯(급암)과 鄭當詩(정당시)라는 두 賢臣(현신)이 있었다. 그들은 한때 각기 구경(九卿: 9개 부처의 각 으뜸 벼슬)의 지위에까지 오른 적도 있었지만 둘 다 개성이 강한 탓에 좌천·면직·재등용을 되풀이하다가 급암은 淮..
-
명주암투참고 자료 2013. 3. 8. 14:05
명주암투[明珠闇投]한자 뜻과 음밝을 명, 구슬 주, 어두울 암, 던질 투.풀이밝은 구슬을 어두운 밤중에 집어 던진다. 빛나는 구슬이라도 밤에 던지면 아무 빛도 발하지 못한다. 지극히 귀한 보물도 남에게 예를 갖추어 주지 아니하면 도리어 원한을 삼. 남을 도울 때도 방법이 나쁘면 도리어 원망을 사게 됨. 출전 史記(사기) 鄒陽傳(추양전).출처 :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조기형, 2011.2.15, 이담북스 명주암투[明珠暗投]한자 뜻과 음明 : 밝을 명, 珠 : 구슬 주, 暗 : 어두울 암, 投 : 던질 투풀이빛나는 구슬을 어두운 데 던진다는 뜻으로, 귀한 보물도 남에게 예를 갖추어 전달하지 않으면 도리어 반감을 산다는 의미다.유래전한(前漢)의 경제(景帝)한테는 효왕(孝王)이라고 하는 배다른 아우가 있었는..
-
기화가거참고 자료 2013. 3. 8. 12:36
기화가거(寄貨可居): 진기한 물건이나 사람은 당장 쓸 곳이 없어도 훗날을 위하여 잘 간직하는 것이 옳다는 말 『사기』권 85 「여불위열전」 기화가거[奇貨可居]진기한 물건이나 사람은 당장 쓸 곳이 없다 하여도 훗날을 위하여 잘 간직하는 것이 옳다는 말. 奇 : 기이할 기 貨 : 재화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기화(奇貨)라고도 한다. 《사기(史記)》 에 보면, 여불위는 한(韓)나라의 큰 장사꾼으로 각국을 돌아다니며 많은 재산을 모았다. 진소왕(秦昭王)의 태자 안국군(安國君)에게는 20명의 아들이 있었으나 안국군이 가장 사랑하는 화양부인(華陽夫人)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한편 안국군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하희(夏姬)에게는 자초(子楚)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조(趙)나라에 인질로 가 있으면서 심한 학대..
-
계명구도참고 자료 2013. 3. 8. 12:31
계명구도[鷄鳴狗盜] 하잘것없는 재주라도 쓸모가 있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사소한 재주로 상대방을 속인다는 의미로도 쓰이이기도 한다. 고상한 학문은 없고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이르는 말. 鷄 : 닭 계 鳴 : 울 명 狗 : 개 구 盜 : 훔칠 도중국 전국시대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이 제나라의 귀족 맹상군(孟嘗君)을 초청했는데 진나라 국상이 맹상군의 슬하에는 인재가 많은 것을 시기하여 그를 죽이려 하였다. 이에 맹상군은 식객들을 시켜 진왕에게 선사했던 흰 여우 가죽옷을 훔쳐내어 진왕이 총애하는 왕비에게 주고 구원을 요청하였다. 왕비는 진왕을 구슬려 맹상군을 돌려보내게 하였다. 그러나 일행이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렀을 때 관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당시 관문은 닭의 울음소리가 들려야 열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