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묵자
[ 墨子 ]- 중국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 묵자 및 그의 후학인 묵가(墨家)의 설을 모은 《묵자(墨子)》가 현존한다. 유가가 봉건제도를 이상으로 하고 예악(禮樂)을 기조로 하는 혈연사회의 윤리임에 대하여, 오히려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지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주장한다.
- 출생-사망
BC 480 ? ~ BC 390 ?
- 본명
적(翟)
- 국적
중국
- 활동분야
철학
이름은 적(翟). 그의 행적은 분명하지 않다. 묵자 및 그의 후학인 묵가(墨家)의 설을 모은 《묵자(墨子)》가 현존한다. 《묵자》는 53편이라고 하나, 《한서(漢書)》지(志)에는 71편으로 되었다. 최종적으로 성립된 것은 한(漢)의 초기까지 내려간다고 추정된다. 그 내용은 다방면에 걸쳤으나, 중심이 되는 것은 상현(尙賢) ·상동(尙同) ·겸애(兼愛) ·비공(非攻) ·절용(節用) ·절장(節葬) ·천지(天志) ·명귀(明鬼) ·비악(非樂) ·비명(非命)의 10론(十論)을 풀이한 23편이다.
겸애란 사람은 ‘자신(自身)’ ‘자가(自家)’ ‘자국(自國)’을 사랑하듯이 ‘타인(他人)’ ‘타가(他家)’ ‘타국(他國)’도 사랑하라는 것이다. 비공론(非攻論)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유가(儒家)의 인(仁)이 똑같이 사랑[愛]을 주의(主意)로 삼으면서도 존비친소(尊卑親疎)의 구별이 있음을 전제로 하는 데 반하여, 겸애는 무차별의 사랑인 점이 다르고, 또한 사랑은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이윽고 자신도 이롭게 한다는 ‘겸애교리(兼愛交利)’를 풀이한 것이었다. 절용은 사치를 삼가고 생산에 힘쓰며 소비를 줄이라고 설파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장례를 간소하게 치르라는 절장론(節葬論)과 음악(音樂)을 허식이라 하여 물리치는 비악론(非樂論)으로 전개된다.
한편, 정치에 대해서는 상동론(尙同論)이 있으며, 그 기초로서 천지론(天志論)이 있다. 천지론은 절대적 ·종교적이라고 할 수 있는 천의(天意)의 존재와 거기에 따르거나 거역했을 때의 상벌을 강조한다. 상동이란 아랫사람[下]은 윗사람[上]에게 순종하라는 것이다. “사람이란 일인일의(一人一義) 십인십의(十人十義)이므로 방치하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지 못한다. 그래서 부락민은 이장에게, 이장은 면장에게, 점차 아래에서 위로 상동(尙同)하여 그 정점에는 최고의 현자(賢者)로서 하늘의 뜻을 받드는 천자(天子)가 있다”는 것이다. 명귀론(明鬼論)은 하늘의 대행자로서 상벌을 내리는 귀신의 존재를 주장하였고, 비명론(非命論)은 이른바 운명을 부정하지만, 그 참뜻은 명(命:운명론)에 현혹되어 일상의 일을 게을리하지 말도록 타이르는 것이었다.
요컨대 《묵자》는 유가가 봉건제도를 이상으로 하고 예악(禮樂)을 기조로 하는 혈연사회의 윤리임에 대하여, 오히려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지향하여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주장한 것이다. 더욱이 10론 이외에 일종의 논리학을 풀이하는 편(編)과 비공론(非攻論)에서 출발한 방어술(防禦術) ·축성술(築城術)에 관한 편도 있다.
- 출처 :두산백과
묵자
[ 墨子 ]- 출생-사망
BC479년경~BC381년경
- 본명
적(翟)
- 직업
사상가
- 유파 및 분야
묵가
- 국적
중국
이름은 적(翟). 제자백가의 하나인 묵가의 시조로 전국시대 초기에 활약한 사상가. 철기의 사용으로 생산력이 발전하자, 농민, 수공업자, 상인 등은 그에 힘입어 신흥계급으로 성장하고 점차 종래의 지배계급이던 씨족 귀족보다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이 시기에 그는 신흥계급의 입장에 서서 씨족 귀족의 정치와 지배에 정면으로 대결하면서 그의 사상을 전개했다.
그의 정치사상은 '천하(天下)에 이익되는 것(利)을 북돋우고(興), 천하의 해가 되는 것(害)을 없애는(除)' 것을 정치의 원칙으로 하고, 그 실현 방법으로서 유능하다면 농민이나 수공업자도 관리로 채용하는 '상현'(尙賢), 백성의 이익에 배치되는 재화ㆍ노동력의 소비를 금지하는 '절용'(節用), 지배자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약탈이나 백성 살상의 전쟁에 반대하고, 타인을 사랑하고 자신과 타인의 이익을 서로 높이는 '비공'(非攻)과 '겸애'(兼愛)를 주장했다. 또 이러한 원칙과 방법에 기초를 둔 현실비판 속에서, 논리적 용어, '유'(類 : 보편), '고'(故 : 까닭, 이유)의 개념 등을 발명, 구사하여 논리적 사고를 풍부히 했다.작품활동
주요저서
墨子 53편
- 출처 : 철학사전, 임석진 외 편저, 2009, 중원문화
묵자(이름 적(翟), 생존연대 기원전 479-381?, 공자 이후에 탄생)는 중국의 봉건적 계급제도가 무너져 작은 봉건국가로 나뉘어 패권을 다퉜던 춘추전국시대에 활동했다.
묵자는 세상에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사상사에서는 빠트릴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묵자사상은 유가(儒家)와 쌍벽을 이룬 사상이었으나 유가가 중국 왕조의 통치이념으로 자리를 잡게 된(한나라) 이후에 외면당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묵자가 유가를 신랄하게 비판했기 때문이었다.
묵자는 유가의 사상이 위선적이고 형식적이라고 비판하여 유가로부터 배척을 받고 퇴조하게 되었는데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식자들로부터 새롭게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묵자는 처음에는 공자를 신봉했으나 유가가 의례를 지나치게 숭상하고 종교적 지향을 무시하는 처사에 불만을 품고 독자적 길을 걷게 되었다. 공자가 귀족적 성향을 보인데 반해 묵자는 소박한 생활과 서민과의 인간관계를 존중하고, 제자들과 함께 전쟁을 일으키려는 나라를 설득하여 8회의 전쟁을 막기도 했다.
묵자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한 마디의 말에서 엿볼 수 있다.
“사람은 모두 자기와 자기의 가정과 자기의 국가를 사랑한다. 그러면서도 상대방 입장을 생각하지 않고 적과 나를 구별하고, 상대방보다 강해지려고 폭력을 휘두르고 전쟁을 일으켜 세상을 어지럽힌다. 사람들이 앓는 이기심의 병은 겸애(타인을 이롭게 하는 사랑) 외에는 치유할 방법이 없다.”
묵자는 “적이 아니면 누구를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를 역설하고, 사랑과 평등과 평화의 정신으로 경제적으로는 공리(公利-빈부격차 해소)와 실용(實用-근검절약)을 추구하고, 정치적으로는 “군주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정치 지도자는 빈부귀천에 차별을 두지 않고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한 위대한 사상가였다.
묵자가 "적을 사랑해야 한다."면서 몸소 실천한 것은 예수가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죄수도 하지 않느냐? 너희가 칭찬을 받으려면 원수를 사랑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
묵자를 대표하는 겸애(兼愛)의 뜻은 보편적 사랑과 보편적 인류애, 타인을 위하는 사랑, 댓가를 바라지 않는 희생 정신으로 요약할 수 있다. 묵자사상은 경제와 세계지배를 위해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는 현실에서는 모든 인류가 지향하고 추구해야 할 주옥같은 가르침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묵자의 10개 덕목(德目)
1. 상현(尙賢):어진 사람 존경
2. 상동(尙同) : 윗사람 뜻에 동조(정치 사상)
3. 겸애(兼愛) : 보편적 인류애
4. 비공(非攻):전쟁 반대(평화주의)
5. 절용(節用):물자 절약(실용주의)
6. 절장(節葬):장례의 검소 강조
7. 천지(天志):하늘 숭상(종교주의)
8. 명귀(明鬼):신의 존재성 인정(종교주의)
9. 비악(非樂):부귀공명자들의 음악을 낭비적 활동으로 규정
10. 비명(非命):숙명론 반대
- 출생-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