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
-
칼 포퍼참고 자료 2013. 5. 3. 13:37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8&contents_id=4595 지난 세기 과학철학 분야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힐 중요한 저작인 칼 포퍼(Karl Popper, 1902~1994)의 《추측과 논박》(Conjectures and Refutations, 1963, 전2권, 이한구 옮김, 민음사 펴냄)이 이한구 성균관대 교수(철학)의 번역으로 출간됐다. 모두 21편의 글을 모은 논문집이다. 포퍼는 이 책에서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라는 서양의 오랜 지적 전통을 비판하면서 자신의 ‘비판적 합리주의’의 논리를 드러낸다. 그는 먼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서 비롯해 베이컨과 데카르트가 틀을 잡은 경험주의와 합리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인 에는 소크라테스..
-
-
모나드참고 자료 2013. 5. 3. 09:47
모나드[Monad] '모나드'란 라이프니츠(1646~1716)가 만년에 저작한 『모나드론』(La Monadologie)에서 분석한 핵심 개념으로, 원래 '1'(the one) 또는 '단위'를 뜻하는 그리스어 모나스(monas)에서 유래한 말이다. 모나드는 형이상학적으로 실재성의 측면에서 하나이고 자기자신과 동일하며 부식하지 않는 이데아를 가리키기 위하여 플라톤에 의하여 사용된 용어이지만, 라이프니츠에 의해 "무엇이 실체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으로 다시 활용된 개념이다. 모나드는 모든 존재의 기본 실체로서 단순하고 불가분(不可分)한 것이며, 원자와는 달리 비물질적인 실체로서 그 본질적인 작용은 표상(表象)이다. 표상에는 의식적인 것 외에 무의식적인 미소표상(微小表象)도 포함된다. 표상이란 외부의 것이 ..
-
자크 라캉참고 자료 2013. 4. 30. 10:32
"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8&contents_id=4901 자크 라캉[Jacques Lacan]프랑스의 철학자 ·정신분석학자. 언어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분석하는 이론을 정립하여 ‘프로이트의 계승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출생-사망1901. 4. 13 ~ 1981. 9. 9국적프랑스활동분야철학, 정신분석학출생지프랑스 파리1901년 프랑스 파리에서 출생하였다. 고등사범학교에서 처음에는 철학을 배웠으나 후에 의학 ·정신병리학을 배웠다. 1932년 프로이트의 지도를 받았으며 《개성에 비추어본 망상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평생을 정신과의사 및 정신분석학자로 지냈다. 국제정신분석학회에서 탈퇴하여 1953년 프랑..
-
베이컨의 우상론참고 자료 2013. 4. 29. 12:01
우상론[偶像論]영국의 철학자 베이컨(F. Bacon)은 학문을 하는 데 있어서 사람들의 올바른 판단을 막는 장애 요인으로 선입관과 편견을 들었는데, 베이컨은 이런 선입관이나 편견을 우상이라고 정의하고, 그런 우상의 극복만이 올바른 지식이나 판단을 얻을 수 있는 길이라고 하였음 우상(偶像)이란 우리 마음에 자리잡고 있는 권위의 상징을 의미한다. 베이컨은 '우상'을 종족의 우상, 동굴의 우상, 시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 등 4개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베이컨의 4대 우상론(The four idol of Francis Bacon) ㆍ종족의 우상 : 모든 사물을 인간 본위로 해석하려는 본편적인 편견. 맹목적인 습관, 감정, 신앙에서 오는 편견을 말한다. (예 :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세계관, 새가 노래를 하고..
-
유무상생참고 자료 2013. 4. 26. 16:31
유무상생[有無相生]있고 없음은 서로 상대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란 뜻으로, 세상만물의 이치를 상대적인 관점에서 볼 것을 가리키는 말. 有 : 있을 유 無 : 없을 무 相 : 서로 상 生 : 날 생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 제2장에 나오는 말이다. 천하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데서 추함이란 관념이 나오고 선(善)을 좋다고 생각하는 데서 악(惡)의 관념이 생긴다. 있고 없는 것은 서로 상대하기 때문에 생기고(有無相生), 어렵고 쉬운 것은 서로를 보완해 주며, 길고 짧은 것은 서로를 분명하게 드러나게 해주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의논하며, 음과 소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고, 앞과 뒤는 서로를 따른다. 그러므로 성인은 무위(無爲)의 태도로써 세상일을 처리하고 무언의 가르침을 행하는 것이다. 있다는 것은 없다는 것..
-
삼스카라참고 자료 2013. 4. 23. 15:45
삼스카라 고대 인도의 브라만 교도가 탄생, 결혼 등 생애의 각 시기에 통과의례로서 가정 내에서 행한 종교적 의식의 총칭으로, 통상 〈정법(淨法)〉으로 번역된다. 산스크리트의 〈삼스카라〉라는 말은 본래 어떤 현실적 효과를 가져오는 잠재적 힘을 의미했다고 하며, 이런 의미에서 성별, 정화 등의 효력을 부여하는 각종 의식이 이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정법〉에 관한 규정은 넓은 의미의 베다성전에 속하는 달마 스트라(dharma), 그리비야 스트라(grhya-sutta) 등에서 발견되는데, 그 수나 종류는 각 문헌의 시대나 학파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행하여진 주요한 의식으로서는 수태식에서 결혼식에 이르는 12종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의 몇 가지는 오늘날에도 힌두 교도 사이에서 실천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