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 최희수(33)씨는 2년 전 겨울 필리핀의 휴양지 보라카이에 도착하자마자 몸 둘 바를 몰랐다. 해변에 도착해 통통배에서 내리려는데, 바닷물에 젖지 않도록 외국인 여행자를 업어주는 사람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마음이 그렇게 불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뒤 최씨는 “여행을 하면서 느끼는 죄의식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때부터 최씨는 될 수 있으면 책임여행을 구현하려고 애쓴다.
문제의식을 확장해 보자. 국내여행을 할 경우에도 한두 명이 자동차를 타고 가서(온실가스를 과다히 배출하고), 대형 리조트에서 묵으며(당신이 쓰는 돈은 다시 서울의 대자본으로 돌아간다),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먹는(역시 지역경제에 도움이 안 된다)다.
책임여행은 여행자가 현지 경제·문화·환경을 존중하고 보호할 책임이 있다는 개념이다. 당신의 여행을 책임 여행으로 바꿔보는 건 어떨까? 영국에 본부를 둔 올바른 여행을 위한 시민단체 ‘투어리즘 콘선’과 책임여행 전문여행사 ‘리스펀서블 트래블닷컴’, 세계관광기구(WTO) 총회에서 1999년 제정된 세계관광윤리강령, 영국의 여행 잡지 <지오그래픽> 등을 참고해 가 책임여행 10계명을 만들었다.
1. 지역적으로 소비하라
투어리즘콘선 집계로, 여행자가 쓴 비용의 70~85%가 다국적 체인 호텔, 여행사 등을 거쳐 다시 국외로 빠져나간다고 한다. 네팔에서 이뤄지는 트레킹·등정비용 중 주민들에게 돌아가는 건 1.2%뿐. 당신의 여행은 지역 경제에 도움이 돼야 한다. 다국적 호텔체인과 여행사 이용을 자제하고 현지인이 운영하는 숙박·음식점을 이용하라.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대(중앙)자본이 운영하는 호텔, 리조트보다는 주민이 운영하는 민박이나 펜션을 찾으라.
2. 여행지에 대해 공부하라
사회적, 역사적 텍스트 속에서 여행지를 공부하고 간다. 군부독재 통치를 받는 버마(미얀마)의 정치적 상황을 고민하는 여행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많은 것을 볼 수 있고 윤리적으로 여행한다.
3. 허가받고 사진 찍으라
원주민들에게 허가를 받고 사진을 찍으라. 사진을 찍더라도 싫어하는 것 같으면 즉각 셔터에서 손을 떼라.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지 마라. 타이의 치앙라이 고산족들은 이렇게 말한다. “외국인 여행자들은 사진을 보내준다고 해놓고 한번도 보내준 적이 없어요.” 폴라로이드를 가져가는 것도 생각해볼 것.
4. 현지 언어 한두 마디는 배워가라
현지인과 관계를 맺는 것 또한 여행의 즐거움이다. 당신이 쓰는 현지 언어는 진정성을 표현해주는 도구다.
5. 드레스 코드를 지키라
이슬람 국가의 라마단 기간. 기도를 하고 있는 사람 옆으로 외국인 여행자들이 토플리스를 입고 지나간다. 이건 좋은 행위가 아니다. 동남아의 사원에서도 마찬가지다. 짧은 치마와 바지, 민소매 옷은 피한다.
6. 현지 주민의 처지를 고려해 아끼라
인도 남부 고아의 오성급 호텔 한 곳은 다섯 마을 주민들이 쓰는 물을 소비한다. 오성급 호텔에 묵는 ‘럭셔리 여행자’ 한 명은 고아 주민의 28배에 해당하는 전기를 쓴다. 여행자나 주민이나 지구의 한정된 자원을 나눠 쓰는 사람들이다. 현지 경제상황에 맞게 겸손하게 소비하라.
7. 시간관념의 차이를 이해하라
인도나 동남아 등의 시간관념은 ‘시간이 돈이 되는’ 한국과 다르다. 속도가 중시되는 자본주의적 시간 잣대로 그들을 불평하지 마라. 지나치게 화내지 말 것.
8. 정치적인 말을 자제하라
금강산에선 여행자들이 북쪽 체제를 비아냥대 북쪽 안내원들의 얼굴을 붉히는 사건이 종종 일어난다. 여행을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기회로 삼으라.
9. 골프는 피하라
골프는 대표적인 반환경적 여행이다. 특히 저개발국 골프장은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주민들의 삶을 힘겹게 한다. 타이의 대형 골프장 한 곳은 6만 명의 주민이 쓸 물을 쓴다는 보고가 있다. 골프장은 주변 수자원을 싹쓸이 해 가기 때문에 수자원이 부족한 지역주민들은 물을 얻으러 더 먼 곳을 걸어야 한다.
10. 섹스 관광은 금물
섹스 관광은 대표적인 무책임 관광이다. 그 주요 대상지는 타이와 필리핀 등 동남아인데, 유럽 쪽에서는 이미 항공기에서 관광객들에게 성매매 방지 캠페인 동영상을 틀어주고 있다. 역시 주요 소비국인 한국의 여행자들도 나서야 할 때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