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무의식의 차원과는 상관없는 원시성, 고태성을 띠는 상징들로 이루어져 있다. 단순한 지적 개념이 아니라 미증유의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는 근원이다. 시간과 공간, 지리적 조건, 인종의 차이를 넘어선 보편적 인간성의 원초적 조건들이다. 시공을 넘어 보편적이고 반복적인 체험을 항상 재생할 수 있는 인간 내면의 가능성, 혹은 그런 가능성의 틀이다.원형은 꿈속에서뿐만 아니라 신화와 민담의 세계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원형
[ Archetype ]타고난 심리적 행동 유형으로서, 본능과 연결되어 있으며, 활성화될 경우 행동과 정서로 나타난다. 융의 원형 이론은 세 단계를 거쳐 발달했다. 1912년 그는 태고적 이미지(primordial images) 에 대해 썼는데, 이것은 전 인류 역사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주제들과 유사하다; 그것들의 주요 특징은 힘과 깊이 그리고 자율성이다. 융이 말하는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의 경험적인 내용은 태고적 이미지로부터 왔다. 그는 1917년에 우세점(dominants) 에 대해 썼는데, 이것은 에너지를 끌어당겨 개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의 매듭점을 말한다. 그는 유전되는 것은 심리적 내용이 아니라 표현될 수 없는 근본적 구조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 1919년에 처음으로 원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문헌에서 원형 자체라는 용어가 언급되는데, 이것은 융이 원형을 원형적 이미지, 모티프, 주제 그리고 유형으로부터 분명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원형은 본능과 이미지를 연결시켜주는 심리신체적인 그 무엇이다. 융은 인간의 심리와 이미지를 생물학적 욕동의 파생물로 간주하지 않았다. 이미지가 본능의 목표를 불러일으킨다는 그의 주장은 이미지가 본능과 동등한 자리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이미지는 어느 정도 원형적 성질을 띤다. 개인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너무 엄격하게 나누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정신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개념인 원형이 살아 있는 개념이 되기 위해서는 일상적 경험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타고난 구조에 대한 논의들은 오늘의 정신분석학 안에도 존재하는데, 특히 클라인 학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이작스(Isaacs)가 말하는 무의식적 환상, 비온(Bion)과 모니-컬(Money-Kyrle)이 말하는 전 개념에 관한 논의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 점에서 융은 유럽 구조주의의 선구자라고 말할 수 있다.참고문헌
- Binswanger, H. (1963). Positive aspects of the animus. Zurich: Spring.
- Fordham, M. (1969). Children as Individuals. London: Hodder & Stoughton.
- Fordham, M. (1976). The Self and Autism. London: Academic Press.
- Jacobi, J. (1959). Complex/Archetype/Symbol in the Work of C. G. Jung. Princeton, N. J.: Princeton Univ. Press.
- Jaffe, A. (1971). The Myth of Meaning. New York: Putnam.
- Jung, C. G. (1921-57). Collected Works of C. G. Jung. Princeton, N. J.: Princeton Univ. Press.
- Jung, C. G. (1938).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mother archetype. In Collected Works, vol. 9, pt. 1, pp. 75-110.
- Jung, C. G. (1957). Animus and Anima. Zurich: Spring.
- Jung, C. G. (1963). Memories, Dreams, Reflections. New York: Pantheon.
- Samuels, A. (1985). Jung and the Post-Jungian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Stevens, A. (1982). Archetyp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참조어
-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원시 심상(PRIMORDIAL IMAGE)
- 출처
정신분석용어사전, 미국정신분석학회, 2002.8.10,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한국심리치료연구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
'참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실현 (0) 2013.02.22 자기 (Selbst, Self) (0) 2013.02.22 다이몬 (0) 2013.02.22 누미노제 (0) 2013.02.22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 (0) 201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