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홀로그램 우주
    좋은 글 2013. 1. 7. 12:27

    홀로그램 우주

    우주와 경험적 현상 세계는 전체의 일부분일 뿐이며, 우리가 보는 부분의 모습은 홀로그램의 간섭무늬처럼 질서가 결여된 모습이고, 실제 의미를 가진 전체는 더 깊고 본질적인 차원의 현실에 존재한다는 이론이다.[1]

    [편집] 데이비드 봄의 기존 양자역학에 대한 불만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 이론은 양자역학에 대한 의문점에서 출발했다. 그는 EPR 역설에서 양자역학의 측정 결과를 빛의 속도보다 빨라야만 측정할 수 있다는 아인슈타인의 의문 제기에 대해, 그것이 전자가 상호연결되어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봄은 버클리 방사선연구소에서 실험을 통해 플라스마 속에 전자들이 들어왔을 때 전자들이 개별로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체의 일부처럼 조직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것을 플라스몬이라고 명명했다.

    [편집] 데이비드 봄의 양자장과 비국소성
    봄은 전자와 같은 입자가 관찰자가 없으면 파동으로 존재한다는 의견에 반대하여 관찰자들이 없어도 실제로 존재한다는 입장에서 자신의 이론을 펼쳤다. 그는 중력장처럼 공간 속에 편재해 있는 양자장이 있다는 이론을 내세웠으며, 이 양자장의 힘은 중력장이나 전자기장과는 달리 거리가 멀어져도 약해지지 않으며 어느 곳에서나 똑같은 힘으로 작용한다는 해석을 발표했다. 이것은 우주의 전체성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시사하는데, 플라스마 안의 전자들이 전체의 일부처럼 활동하는 것이 바로 양자장이 주장하는 전체성의 개념이다. 우리가 보는 것들은 전체의 일부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조직화된 행동을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양자장이 작용하는 차원에서는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전체의 일부로서, 위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공간 속의 모든 지점들은 동일하다. 이러한 성질을 비국소성(non-locality)이라고 부른다. 이 이론으로 봄은 EPR 역설의 아인슈타인의 의문 제기를 두 입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체의 일부이기 때문이라고 해명한다.

    [편집]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BBC 방송의 한 TV 프로그램에서 특수하게 고안된 장치를 본 봄은 그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를 갖게 된다. 그것은 원통이었는데 그 안에는 커다란 회전 실린더가 들어 있었고, 통과 실린더 사이의 공간에는 글리세린이, 그 글리세린 속에는 잉크 한 방울이 떠 있었다. 회전 실린더를 돌리면 한 방울의 잉크가 글리세린 속으로 퍼지는데, 실린더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그 퍼진 잉크가 다시 한 방울이 되었다. 이것을 보고 봄은 홀로그래피가 우주의 현상을 설명해내는데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마치 퍼진 잉크방울처럼 홀로그램 필름에 기록된 간섭무늬는 알아볼 수 없는, 무질서한 모습이지만, 실린더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퍼진 잉크방울이 다시 한 방울이 되는 것처럼 홀로그램의 이미지가 제대로 보일 때에는 그것의 질서가 갖춰진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현실 세계는 홀로그램의 간섭무늬처럼 무질서한 환영이고, 더 깊은 차원에 모든 사물과 물리적 세계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본질적인 차원의 현실이 존재한다는 것이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이다. 하지만 봄은 매순간 살아 숨쉬는 역동적인 우주의 성질을 홀로그램이라는 정지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단어가 제대로 나타낼 수 없다고 보고, 우주를 홀로그램보다는 홀로무브먼트(holomovement)로 묘사하기를 더 좋아한다고 한다.

    [편집] 불교 철학과의 유사성
    이와 같은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에 대한 설명은 불교 철학과 아주 깊은 유사성을 갖는다. 봄의 일상 세계와 그것을 존재하게 하는 본질적인 차원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주장은 마치 봄이 불교 철학을 배운 건 아닌가 하는 의심까지 들게 만든다. 이것은 불교가 세상을 설명하는 원리와 딱 맞아 떨어진다. 또한 데이비드 봄이 예시로 드는 것 중에는 불교에서 흔히 예시로 드는 것이 있는데, 바로 물고기가 자신이 헤엄치고 다니는 물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듯이 물리학자들이 1㎤의 공간 속에 담긴 엄청난 에너지를 깨닫지 못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불교에서는 이 비유가 흔히 우리가 우리의 무한한 공의 마음, 즉 일심을 의식하기 힘든 이유를 말하려 할 때 쓰인다.

    [편집] 불교 철학의 일심(一心)불교에서는 경험적 현상 세계는 우리의 마음이 만들어낸 가상일 뿐이며, 이것을 만들어낸 우리의 마음을 일심(一心)이라고 부른다. 내가 밥을 먹을 때에, 내가 아닌 것이었던 밥은 내가 밥을 먹으면 내가 된다. 이렇게 내 몸은 내가 아닌 것이 나로 변한 것이다. 과거에 내가 아니었던 것이 내가 되고, 지금의 나는 또 내가 아닌 것들과 합해지므로 나의 경계는 끊임없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언제나 일관되게 경계가 잡힌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경험적 현상 세계의 개체들은 인과관계를 통해 경계가 해체되어 무한이 된다. 이 무한은 무기물이 아니라 의식을 가진 마음이다. 무상한 현상을 만들어 내는 무한한 힘은 바로 각각의 내면에 자리잡은 마음으로, 개체가 업보를 지으면 그 업에 따라서 현상들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이 무한을 개체 안의 전체와 전체 안의 개체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일一이라하고, 또한 무기물이 아닌 의식이 있고 자기 자각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心, 즉 일심(一心)이라고 한다. 그렇기때문에 자기 안의 이 본성을 깨닫는 것이 바로 자기 안의 불성을 자각하여 부처가 되는 성불이다.[2]

    [편집] 불교 철학의 일심과 홀로그램 우주의 본질적 차원
    이 일심의 철학과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는 많은 면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홀로그램 우주에서는 본질적인 차원에 질서가 숨겨져있으며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단지 그 전체의 일부분으로서 현상에 드러나있는 부분일 뿐이다. 데이비드 봄의 홀로그램 우주에서 이 본질적 차원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차원이며, 이 차원이 사물의 종국이 아닐 수도 있으며 끝없이 펼쳐진 무한한 차원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봤다. 이것을 불교의 일심으로 해석해본다면, 이 본질적인 차원은 바로 우리의 마음이라고 풀이해볼 수 있다. 이 모든 부분적인 경험적 현상을 가능케 하는 것은 마음의 무한한 힘이며, 이 마음은 물고기가 물 속에서 물을 의식하지지 못하는 것과 같이 우리 역시 우리의 마음을 의식하기 힘들다.

    [편집] 참조↑ [홀로그램 우주] 마이클 탤보트 지음, 이균형 옮김. 정신세계사 
    ↑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한자경 지음, 예문서원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99%80%EB%A1%9C%EA%B7%B8%EB%9E%A8_%EC%9A%B0%EC%A3%BC&oldid=6144103

Designed by Tistory.